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eun0-dev

[python] BOJ : 2870번(수학숙제) 본문

알고리즘

[python] BOJ : 2870번(수학숙제)

eunyoung23 2022. 8. 25. 00:58

난이도 : 실버 IV

 

문제

상근이는 수학시간에 딴 짓을 하다가 선생님께 걸렸다. 선생님은 상근이에게 이번 주말동안 반성하라며 엄청난 숙제를 내주었다.

선생님이 상근이에게 준 종이에는 숫자와 알파벳 소문자로 되어있는 글자가 N줄있다. 상근이는 여기서 숫자를 모두 찾은 뒤, 이 숫자를 비내림차순으로 정리해야한다. 숫자의 앞에 0이 있는 경우에는 정리하면서 생략할 수 있다.

글자를 살펴보다가 숫자가 나오는 경우에는, 가능한 가장 큰 숫자를 찾아야 한다. 즉, 모든 숫자의 앞과 뒤에 문자가 있거나, 줄의 시작 또는 끝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01a2b3456cde478에서 숫자를 찾으면 1, 2, 3456, 478이다.

선생님이 준 종이의 내용이 주어졌을 때, 상근이의 숙제를 대신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종이의 줄의 개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의 내용이 주어진다. 각 줄은 최대 100글자이고, 항상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출력

종이에서 찾은 숫자의 개수를 M이라고 하면, 출력은 M줄로 이루어져야 한다. 각 줄에는 종이에서 찾은 숫자를 하나씩 출력해야 한다. 이때, 비내림차순으로 출력해야 한다. 비내림차순은 내림차순의 반대인 경우인데, 다음 수가 앞의 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를 말한다.

 

 

해결 방법

주어진 문자열을 탐색해서 숫자를 찾는 방법을 택했다.

만약 숫자가 이어지면 임시 문자열에 계속 더하고 그 다음 숫자가 다시 나오면 임시 문자열 배열에 이전 숫자(임시 문자열)을 담아두고 다시 임시 문자열을 초기화해준다.

이 과정을 반복한다.

 

 

구현 코드

import sys

input=sys.stdin.readline

M=int(input())
letters=[]
result=[]
nums=['0','1','2','3','4','5','6','7','8','9']

for _ in range(M):
    letters.append(input().rstrip())

tmp=[]
cnt=''

#1.일단 letters 배열을 다 탐색해서 숫자를 다 구한다.
for letter in letters:
    for test in letter:
        if test in nums:
            cnt+=test
        else:
            if cnt:
                tmp.append(cnt)
                cnt=''
    if cnt:
        tmp.append(cnt)
        cnt=''

#2.이 숫자를 int()로 해서 형변환을 시켜주고 이를 비내림차순 정렬한다.
for number in tmp:
    result.append(int(number))

result.sort(reverse=False)

#3. 이를 출력한다.
for res in result:
    print(res)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870

 

2870번: 수학숙제

종이에서 찾은 숫자의 개수를 M이라고 하면, 출력은 M줄로 이루어져야 한다. 각 줄에는 종이에서 찾은 숫자를 하나씩 출력해야 한다. 이때, 비내림차순으로 출력해야 한다. 비내림차순은 내림차

www.acmicpc.net